최근 게시글
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
자료구조 및 알고리즘
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은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다른 경로들을 이용해 점진적으로 업데이트 해나가며 구하는 알고리즘이다.
yonghyeun

인기글 모아보기
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
자료구조 및 알고리즘
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은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다른 경로들을 이용해 점진적으로 업데이트 해나가며 구하는 알고리즘이다.
Chapter 13: Monoids bring it all together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모노이드(Monoid 의 개념을 세미그룹(Semigroup 을 통해 설명합니다.
Chapter 12: Traversing the Stone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Traversable 인터페이스와 그 주요 함수인 sequence와 traverse를 소개합니다.
Chapter 11: Transform Again, Naturally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자연 변환(Natural Transformation) 개념과 실제 코드에서의 활용법을 알아봅니다. 자연 변환은 한 펑터 타입에서 다른 펑터 타입으로 값을 건드리지 않고 구조적으로 변환하는 함수(`f a -> g a`)입니다.
Chapter 10: Applicative Functors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어플리커티브 펑터(Applicative Functor) 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합니다.
Chapter 09: Monadic Onions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포인티드 펑터(Pointed Functor) 와 모나드(Monad) 의 개념을 소개합니다.
Chapter 08: Tupperware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펑터(Functor) 라는 개념을 소개하고, 데이터를 안전하게 감싸는 컨테이너 타입을 다룹니다. Container (Identity), Maybe, Either, IO, Task와 같은 다양한 펑터 구현체를 살펴봅니다.
Chapter 07: Hindley-Milner and Me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입 시그니처(type signature) 와 힌들리-밀너(Hindley-Milner)타입 시스템에 대해 알아봅니다.
Chapter 06: Example Application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장에서는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대조되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소개합니다.
Chapter 05: Coding by Composing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글은 카테고리 이론에 맞춰 함수 합성과 포인트 프리 코딩스타일에 대해 설명합니다.
Chapter 04: Currying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글은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법인 커링(currying)에 대해 설명합니다.
Chapter 03: Pure Happiness with Pure Functions [번역]
mostly-adequate-guide
이 글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순수 함수(pure function)에 대해 설명합니다.